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파이썬예제
- requests 모듈
- 문자열함수
- 데이터프레임조회
- pandas
- 파이썬 야구게임
- range retention
- 타자연습파이썬
- 웹크롤링
- 구구단
- 데이터프레임 정보 조회
- Python
- 피처벡터화
- 웹크롤링 실습
- 조건인덱싱
- R실습
- 야구게임 코드
- 함컴타자연습
- classic retention
- 웹크롤링 예제
- java
- 네이버웹툰크롤링
- 문자열reverse
- 파이썬
- R기초
- R
- 프로그래머스 풀이
- 특정값 추출
- rolling retention
- r연습문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0)
서비스 기획자의 성장기록
import syssys.path.append(r'/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11/lib/python3.11/site-packages')import pygwalker as pygwalker = pyg.walk(positive_keyword_counts_df)
Creating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echo "# " >> README.mdgit initgit add README.mdgit commit -m "first commit"git branch -M maingit remote add origin git push -u origin main Pushing an existing repository from the command linegit remote add origin git branch -M maingit push -u origin main
import matplotlibmatplotlib.rcParams['font.family'] = 'Apple SD Gothic Neo' # 한글 폰트 세팅matplotlib.rcParams['font.size'] = 12 # 폰트 크기matplotlib.rcParams['axes.unicode_minus'] = False # 유니코드가 '-'기호로 설정되는 폰트가 깨지는 것을 방지
JPQL 쿼리 작성 규칙 (@Query 어노테이션 사용 시) JPQL 쿼리 작성: @Query 어노테이션 안에 작성하는 쿼리는 JPQL 형식을 따라야 합니다. JPQL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아닌 엔티티 객체를 기반으로 쿼리를 작성하는데, 이는 SQL의 테이블과 칼럼 대신에 엔티티와 속성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엔티티 이름 사용: JPQL 쿼리에서는 엔티티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하여 쿼리를 작성합니다. SQL에서는 테이블 이름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JPQL에서는 엔티티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하여 쿼리를 작성합니다. 별칭(alias) 사용: 엔티티와 속성에 대한 별칭(alias)을 사용하여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별칭은 쿼리를 보다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매개변수 바인딩: 쿼리 ..

📌 HTTP 통신과 소켓통신 HTTP 통신 HTTP 통신은 Request와 Response로 이루어진 통신방식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응답으로 요청(request)하면 서버가 그에 대한 응답(response)을 보내는 방식이다. HTTP 방식은 단발적으로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만 연결을 허가하고 응답이 마무리되면 연결을 해제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규모의 정보 전달이 여러번 발생할 경우에는 연결을 생성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낭비가 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없으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연결을 먼저 시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소켓통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방식이 소켓통신이다. 소켓통신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특정한 port를 통해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만든..

spring.application.name= (프로젝트명) # 서버 포트번호 설정 server.port= (포트번호) # Context Path 설정 server.servlet.context-path= (/프로젝트명) # Log level 설정 logging.level.root=info # DB(오라클) 연동 설정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oracle:thin:@localhost:1521:ORCLCDB spring.datasource.username=system spring.datasource.password=oracle #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추가합니다. #..

1. docker hub에서 rollernaut oracle19c pull https://hub.docker.com/r/rollernaut/oracle19c Docker hub.docker.com 2. 컨테이너 생성 docker run -d --name oracle19 -p 1521:1521 rollernaut/oracle19c 3. 초기설정 docker exec -it oracle19 bash bash: sys as sysdba sqlplus Enter user-name: sys as sysdba Enter password: (미입력 & 엔터) SQL> show user alter user system identified by oracle; 4. oracle19c 컨테이너 구동 sql developer..

📌 Get 요청과 Post 요청 GE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GET요청은 데이터를 url의 일부로 전송함. 데이터는 url의 쿼리 매개변수에 포함되어 전송됨 2. 캐싱: GET 요청은 브라우저에 의해 캐싱될 수 있음. 동일한 GET 요청을 반복하면 브라우저가 이전에 받은 응답을 재사용하여 페이지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3. 보안: GET은 주로 데이터를 url에 노출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민감한 정보를 전송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음 4. 제한사항: url의 길이에 제한이 있으므로 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 5. 예시: 검색쿼리, 링크 클릭과 같이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데 사용됨 POS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POST 요청은 데이터를 HTTP 요청의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