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자의 성장기록

[Today I learned] 2024.03.05.화: Http 통신방식 - Get & Post 본문

Today I leaned..

[Today I learned] 2024.03.05.화: Http 통신방식 - Get & Post

Jenny Noh 2024. 3. 6. 10:59

📌 Get 요청과 Post 요청

GE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GET요청은 데이터를 url의 일부로 전송함. 데이터는 url의 쿼리 매개변수에 포함되어 전송됨

2. 캐싱: GET 요청은 브라우저에 의해 캐싱될 수 있음. 동일한 GET 요청을 반복하면 브라우저가 이전에 받은 응답을 재사용하여 페이지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3. 보안: GET은 주로 데이터를 url에 노출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민감한 정보를 전송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음

4. 제한사항: url의 길이에 제한이 있으므로 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

5. 예시: 검색쿼리, 링크 클릭과 같이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데 사용됨

 

 

POS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POST 요청은 데이터를 HTTP 요청의 본문에 담아서 전송. 데이터가 url에 노출되지 않음

2. 캐싱: POST 요청은 기본적으로 캐싱되지 않아 매번 새로운 요청이 서버로 전송됨

3. 보안: POST는 데이터를 본문에 전송하므로 GET에 비해 보안적으로 더 강력함

4. 제한사항: 일반적으로 POST 요청은 크기에 대한 제한이 있지만 GET보다는 더 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5. 예시: 로그인 정보나 회원가입 같이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함

 

 

 

요약: GET은 데이터를 요청하는데, POST는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거나 변경하는데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