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연습문제
- 문자열함수
- 피처벡터화
- 파이썬예제
- 파이썬 야구게임
- requests 모듈
- 문자열reverse
- 파이썬
- 타자연습파이썬
- 웹크롤링 예제
- 프로그래머스 풀이
- 웹크롤링
- R기초
- 웹크롤링 실습
- 데이터프레임조회
- 데이터프레임 정보 조회
- 야구게임 코드
- range retention
- classic retention
- pandas
- R
- 함컴타자연습
- java
- R실습
- 네이버웹툰크롤링
- rolling retention
- 조건인덱싱
- 구구단
- Python
- 특정값 추출
Archives
- Today
- Total
서비스 기획자의 성장기록
[Today I learned] 2024.03.05.화: Http 통신방식 - Get & Post 본문
📌 Get 요청과 Post 요청
GE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GET요청은 데이터를 url의 일부로 전송함. 데이터는 url의 쿼리 매개변수에 포함되어 전송됨
2. 캐싱: GET 요청은 브라우저에 의해 캐싱될 수 있음. 동일한 GET 요청을 반복하면 브라우저가 이전에 받은 응답을 재사용하여 페이지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3. 보안: GET은 주로 데이터를 url에 노출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민감한 정보를 전송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음
4. 제한사항: url의 길이에 제한이 있으므로 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
5. 예시: 검색쿼리, 링크 클릭과 같이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데 사용됨
POST 요청
1. 데이터 전송 방식: POST 요청은 데이터를 HTTP 요청의 본문에 담아서 전송. 데이터가 url에 노출되지 않음
2. 캐싱: POST 요청은 기본적으로 캐싱되지 않아 매번 새로운 요청이 서버로 전송됨
3. 보안: POST는 데이터를 본문에 전송하므로 GET에 비해 보안적으로 더 강력함
4. 제한사항: 일반적으로 POST 요청은 크기에 대한 제한이 있지만 GET보다는 더 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5. 예시: 로그인 정보나 회원가입 같이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함
요약: GET은 데이터를 요청하는데, POST는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거나 변경하는데 사용됨
'Today I lea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I learned] 2024.03.14.목: HTTP 통신과 소켓통신 (0) | 2024.03.14 |
---|---|
[Today I learned] 2024.02.12.월: predict_proba(X) (0) | 2024.02.12 |
[Today I learned] 2024.01.28.일: Zanzibar (0) | 2024.01.28 |
[Today I learned] 2024.01.18.목: ASCII 코드 (0) | 2024.01.18 |
[Today I learned] 2024.01.17.수: 부동소수점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