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자열함수
- 타자연습파이썬
- 조건인덱싱
- classic retention
- 파이썬
- Python
- R
- 웹크롤링 실습
- 함컴타자연습
- 웹크롤링
- pandas
- 데이터프레임조회
- 특정값 추출
- range retention
- rolling retention
- 프로그래머스 풀이
- java
- 파이썬 야구게임
- R기초
- r연습문제
- 야구게임 코드
- R실습
- 데이터프레임 정보 조회
- requests 모듈
- 문자열reverse
- 웹크롤링 예제
- 피처벡터화
- 구구단
- 네이버웹툰크롤링
- 파이썬예제
- Today
- Total
목록Python (12)
서비스 기획자의 성장기록

먼저 예시로 사용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해주겠습니다. 0에서 100 사이의 임의의 정수로 구성된 10x10 사이즈의 데이터프레임입니다. Index는 [a, b, c, d, e, f, g, h, i, j], columns 값은 [A, B, C, D, E, F, G, H, I, J]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1. 열 값 읽어오기 ① df[열이름] or df.열이름 하나의 열을 인덱스 값과 함께 반환할때 사용합니다. df['A']와 df.A는 동일한 표현입니다. 해당 형태로 불러오게 되면 해당 열은 Series 객체로 반환됩니다. ② df[[열 이름, 열이름, ...]] df[]안에 열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전달합니다. 복수개의 열을 반환할 수 있는 표현으로 반환값이 데이터 프레임 구조로 반환되기 때문에 보기에도..

1. Pandas 라이브러리 개요 Pandas는 데이터 조작과 분석을 위해 파이썬으로 작성된 sw 라이브러리입니다. Pandas는 엑셀과 같이 데이터 테이블에 대한 연산과 조작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로 머신러닝에서 데이터 전처리를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2. Pandas 불러오기 Pandas는 보통 Numpy와 함께 불러와서 사용합니다. Numpy는 np로, Pandas는 pd라는 별칭으로 불러와서 사용합니다. 3. Pandas 자료구조 Pandas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자료구조가 있습니다. (1) Series Series 객체는 데이터 프레임이서 column을 구성하는 객체입니다. Index와 value 값을 가지는 1차원의 데이터 구조입니다. Series 생성하기 Series..

웹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일단 웹 페이지의 정보를 불러와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패키지가 requests 모듈의 get() 함수이다. 1. 기본 형식 - url: 데이터를 가지고 오고 싶은 웹의 url - params: Query string을 전달하는 변수 구글에서 python을 검색하면 해당 url은 google.com/search?q=python 로 표기된다. 이 때 ? 뒤에 들어가는 q=python 형식의 문자열이 query string에 해당한다. 이를 params 객체로 전달할 때는 {"q":"python"} 과 같이 딕셔너리 형태로 전달한다. - **kwargs: 그 외의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값; 요청 메세지에서 header에 포함되는 값 2. 실습 네이버 검색엔진에서 'pyt..

문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0~9 사이의 중복되지 않은 임의의 정수 3개를 생성한 숫자를 숫자와 순서까지 맞추는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 랜덤하게 생성된 3개의 숫자와 플레이어가 입력한 숫자 3개에 대해 순서와 숫자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보여준다. * 숫자는 맞았으나 위치가 다른 경우: 맞춘 숫자 갯수 만큼 볼 (ball) * 숫자와 순서가 모두 맞은 경우: 스트라이크 (strike) * 맞춘 숫자가 없으면 아웃 (out) * 게임은 3 스트라이크가 되면 종료되며 시도 횟수를 보여준다. - 다음의 두 가지 함수를 정의하여 구현한다. * randomNumber(): 0~9 사이의 중복되지 않은 정수 3개를 반환 * inputNumber(): 키보드로 0~9 사이의 정수를 입력 받아 ..

직접 코딩하면서 만난 오류들을 모아놓는 곳으로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 # TypeError 1. list.sort( )는 return 값이 없다. list.sort()의 결과를 print하려고 하면 None이 반환된다. list의 sort() 함수는 값을 반환하는 함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괴적인 함수로 원본의 리스트를 정렬한다. 따라서 리스트의 정렬된 결과값을 출력하고 싶으면: 1) list.sort( ); print(list) 형태로 나눠서 쓰거나 2) 반환값이 있는 sorted 내장함수를 사용한다! * sorted(list, reverse=True) # IndexError 1. list[len(list)] 는 index out of range! 예를 들어 a = [1, 2, 3] 이라는 ..
Python 자료형 bool형: True와 False 값을 가지는 자료형 문자열: '' 이나 "" 등으로 묶여있고 문자의 나열로 인식되는 값 정수형: 음수, 0, 양수의 정수 값 실수형: 정수를 포함하여 소수점을 나타낼 수 있는 실수 값 튜플: ( )로 묶여있는 자료형의 집합 리스트: [ ]로 묶여있는 자료형의 집합 집합: { }로 묶여있고 값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형의 집합 사전: {[key]:value} 형태의 자료형의 집합 자료형 크기 자료형 크기 bool 1 byte 정수형 int: 4 byte long: 무제한 실수형 float: 8 byte 문자형 영문 한 글자: 1 byte 국문 한 글자: 3 byte

[문제] 애국가 1절을 각 소절마다 타이핑하여 정확도와 타자 속도를 출력한다. [풀이] import time text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speed_sum = 0 accuracy_sum = 0 for i in range(len(text)): print(f'({i+1}/4)') print(text[i]) start = time.time() input_text = input() end = time.time() correct = 0 for k, item in enumerate(input_text): if text[i][k] == item: correct += 1 speed_in_min..

[문제] 사용자로부터 총 학생의 수와 합격 기준점수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각 학생의 성적과 결석 일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결석일수 1일당 5점씩 감점하여 최종 성적을 계산한다. 점수와, 결석일수, 최종성적과 합격여부를 출력한다. [풀이] print('입력: ') n = int(input('학생 수(명): ')) pass_score = int(input('합격기준 점수(점): ')) stu_dic = {} for i in range(n): input_data = input(f'{i+1}번 학생 점수와 결석일수 (예: 100 0): ').split() score = int(input_data[0]) absent = int(input_data[1]) total_score = score..

문자열 처리 함수 중에는 reverse 함수가 없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하는데 문자열을 역순으로 출력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1) for 문 활용하기 출력할 새 문자열을 new_str으로 선언한다. 그리고 for 문으로 문자열에 포함된 문자를 하나씩 가져와서 (문자 + 새 문자열 = new_str)을 new_str에 저장해 준다. 2) 리스트 변환: reversed() 함수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해서 리스트의 reverse() 함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join() 함수를 사용해서 다시 문자열로 반환한다. 3) 문자열 인덱싱: [::-1] 문자열[::-1]을 통해 역순으로 출력한다. *문자열 인덱싱: str[start:end:step]

[문제] 연도를 입력받아 윤년인지 평년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 작성하세요. - 프로그램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0을 입력 받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 윤년조건: 4로 나누어 떨어지고,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해, 또는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 [실행 예] 연도를 입력하세요 (종료: 0): 2020 2020은 윤년입니다. 연도를 입력하세요 (종료: 0): 2021 2021은 평년입니다. [풀이 1] # 풀이 year = int(input('연도를 입력하세요 (종료: 0): ')) while year != 0: if (year % 4 == 0 and year % 100 != 0) or year % 400 == 0: print(f'{year}년은 윤년입니다.') else: print(f'{y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