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데이터프레임 정보 조회
- 웹크롤링 실습
- range retention
- 프로그래머스 풀이
- R실습
- 함컴타자연습
- 파이썬
- classic retention
- 파이썬 야구게임
- 문자열함수
- 문자열reverse
- 네이버웹툰크롤링
- r연습문제
- R
- java
- 야구게임 코드
- Python
- 파이썬예제
- 조건인덱싱
- pandas
- 데이터프레임조회
- 구구단
- requests 모듈
- 타자연습파이썬
- R기초
- 특정값 추출
- 웹크롤링 예제
- 피처벡터화
- 웹크롤링
- rolling retention
Archives
- Today
- Total
서비스 기획자의 성장기록
[Today I learned] 2023.12.22.금: Pandas shift 함수 본문
📌 Pandas shift 함수
shift 함수는 데이터프레임 내에서 지정된 축 방향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함수이다.
기본 사용 포맷은 다음과 같다.
df.shift(periods=1, freq=None, axis=0, fill_value=None)
df['column_name'].shift(periods=1, freq=None, axis=0, fill_value=None)
- periods: 선택한 축을 따라 이동하는 정수 값
- freq: 날짜 및 시간 이동을 위한 'D', 'W', 'M' 값 또는 DateOffset 지정 (optional)
- axis: 0 = 행 방향, 1 = 열 방향으로 이동
- fill_value: 데이터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NaN 값을 채우기 위한 매개변수 (optional)
사용 예시 1) 열 내에서 값 이동하기
사용 예시 2) 시계열 데이터 - 과거 값과 비교하기
사용 예시 3) 한 열 내에서 연속된 데이터 값의 차이 계산
'Today I lea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I learned] 2024.01.04.목: Timedelta 소수점 없애기 (0) | 2024.01.04 |
---|---|
[Today I learned] 2024.01.01.월: Pandas NaT (not a datetype) (2) | 2024.01.01 |
[Today I learned] 2023.12.20.수: array와 list의 차이, 고유값 숫자세기 (0) | 2023.12.20 |
[Today I learned] 2023.12.16.토: pd.date_range().to_list(), datetime 객체에 하루 더하기, 새로운 열의 값 iloc으로 추가하기 (0) | 2023.12.16 |
[Today I learned] 2023.12.15.금: f-string으로 변수 불러오기 (0) | 2023.12.15 |